연구내용(1) 폭염 취약지역 조사
1) 대구광역시 폭염 취약지역 분석 방안 - Sentinel-2 LST 데이터 분석을 통한 대구시 고온 지역을 식별 및 공간 분포 시각화 - 건물 GIS 데이터를 활용하여 3D 모델을 생성하고 태양의 고도 및 방위각을 고려하여 대구시 여름철(6~8월) 폭염 시간대(12:00~15:00) 그늘 분포 평가 2) 기존 폭염 완화 인프라 분포 평가 - 현재 운영 중인 녹지공간, 스마트 그늘막 등 폭염 완하 인프라의 위치정보와 인구밀도, 온도 분포 등을 분석 3) 폭염 완화 인프라 최적 배치안 도출 - 그늘 부족 지역, 폭염 취약지역과 인구밀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인프라 입지의 적합성 평가 - 다중기준의사결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배치안 도출 *TOPSIS(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방법 적용 예정데이터명 | 세부 내용 | 출처 |
---|---|---|
Sentinel-2 LST | 지표면온도 | 코페르니쿠스(유럽우주청) |
건물 GIS 데이터 | 건물 위치, 면적, 높이 정보 | 국토지리정보원, 대구시 |
인구밀도 | 지역별 인구 분포 | 통계청, 대구시 |
폭염 인프라 위치정보 | 녹지, 그늘막, 분수대 등 | 대구시, 공공데이터포털 |
DEM※ | 지형고도 정보 | 국토지리정보원, 위성영상 |
연구내용(2) 홍수 리스크 평가(하천 범람, 도시 침수)
- 하천범람지도, 도시침수지도를 통해 하천변 침수위험 및 도심 내 침수 위험지역에 대한 평가 - 건물 GIS 데이터 활용, 인구 분포도를 중첩하여 대구시 홍수위험지도 고도화 및 도시침수 위험도 분석 - 기후위기 취약성 평가도구(VESTAP)를 활용하여 홍수 리스크 전망 확인일반현황 및 기초자료 수집
- 처리장 규모(처리용량), 공정 현황(1차 처리, 2차 처리, 고도처리 여부 등) 등 조사 - 에너지 소비 및 생산 현황 조사 등 상세한 온실가스 배출원 조사배출원 기여도 분석 및 감축 잠재량 평가
- 각 하수처리장의 최신(2024년 등)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직접배출+전력사용 등 세부배출원별)을 산정 - 필요시 공정 시뮬레이션이나 기존 문헌 데이터 활용하여 N₂O 배출까지 정량화 - 이를 통해 하수처리 부문의 배출원별 기여도 분석 및 감축 잠재량을 평가감축 수단 및 기술 적용 방안 제안
- 재생에너지 설비 도입, 에너지 효율 향상, 바이오가스 활용 및 자원화 등 감축수단 적용방안을 제안 - 에너지 소비 저감을 위해 송풍기, 교반기 등의 고효율화 및 스마트제어를 도입하여 공정 운영 최적화 달성방안 제안 - 혐기성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포집하여 발전기나 열병합발전(CHP)으로 활용하여 화석연료 사용을 대체하고 온실가스를 이중으로 감축하는 방안 제안 - 하수 슬러지 자원화를 극대화하여 에너지 자립형 하수처리장을 구현방안 제안 - 질소처리 공정에서 N₂O 배출을 줄이는 기술(예: 단계적 질소제거 공정 개선, 탈질 여재개선 등)을 조사하고 적용 가능성 평가제도적 지원방안 제안
-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개선 투자에 대한 국고보조나 지방비 지원, 탄소중립 설비 도입에 따른 운영비 절감분의 공유제도 등 제안 - 에너지 자립화 목표제 도입을 검토하여, 예를 들어 “2030년까지 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률 50% 달성”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이행 지원방안 제안 - 하수처리장에 신재생에너지 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거나 에너지 효율 1등급 설비 인증을 요구하는 방안 제안 - 바이오가스 생산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및 지원(예: 생산된 전기의 판매 허용, REC 가중치 부여) 등 정책적 방안 제안 - 대구시 차원에서 하수처리 분야 탄소중립 추진을 위해 관련 부서 및 유관기관(예: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등)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정례적인 성과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방안 등 제안국내외 도시 및 지역 단위 기후대응기금 운영 사례 분석
서울시 기후예산제, 서울기후기금 등 국내 지자체 사례 조사 - 미국 뉴욕시, 포틀랜드, 독일 하노버 등 주요 도시의 지역기금 운영 사례 분석 - 지역 기후대응기금의 설치 배경, 재원 조달 방식, 운영 주체, 지원 대상 등 비교도시·지역 맞춤형 기후대응기금의 적용 가능성 진단
- 지역의 재정 여건과 기후대응사업 추진 역량 분석 - 지자체 내부의 행정·정책 연계 가능성 평가(예: 도시계획, 복지, 교통 등과의 연계) - 민간·시민사회와의 협업 가능성 및 지역 공동체 기반의 참여 구조 모색지역 기후대응기금의 운용 구조 및 배분 체계 설계
- 지역 특화형 기금 운영 모델 제안(예: 재난 회복 중심형, 에너지 전환 중심형 등) - 기금의 집행 투명성 확보 방안 및 지역민 참여형 의사결정 구조 설계 - 사업 신청 및 평가 기준, 모니터링 및 환류체계 구축 방안지속 가능한 지역 기후재정 거버넌스 구축 방안 제시
- 지역 기후대응기금 법·제도화 추진 전략 - 중앙정부-지자체-지역 사회 간 협력 거버넌스 모델 제시 - 지역 재정의 기후대응 전환을 위한 재정 유인책 및 제도 개선 방향- 지역 차원의 기후대응 재정체계 마련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정책의 실효성을 제고
- 중앙정부 중심의 기후정책에서 벗어나, 지역 맞춤형 대응전략 수립 기반 강화
- 지자체의 기후재정 편성 방향에 대한 제도적 기준 및 정책 로드맵 제공
- 지자체 기후예산의 체계적 관리 및 집행 효율성 향상
- 지역 기후리스크 진단 기반의 합리적 재정 배분 가능
- 기후대응 관련 조직, 인력, 사업 간 연계성 강화 및 거버넌스 개선
- 주민과 민간이 참여하는 지역 기반 기후거버넌스 확립
- 지역 내 취약계층 보호 및 사회적 불평등 완화에 기여
-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 제고 및 공동체 기반의 실천 확대
매년 지자체 계획에 대한 연도별 추진현황 점검을 통해 계획을 수정·보완해 나갈 수 있는 이행점검 및 환류 체계 구축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 세부사업에 대한 성과지표, 온실가스 감축 등 종합 진단을 통한 차년도 시행계획에 반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8조 및 지자체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상황 점검 가이드라인에 따라 추진
9개 구·군 탄소중립 기본계획 세부사업 성과지표 및 감축량 등 광역 계획과의 연계성 검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42조 및 지자체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이행점검 지침에 따라 추진
부문별·지역별 기후위기의 영향과 취약성 평가, 적응대책에 관한 사업 점검
세부시행계획의 연도별 추진과제를 대상으로 평가하여 세부사업별 자체점검 진행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서비스
- IPCC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시각화 - IPCC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예측 전망 - 탄소중립 지표분석 (우수지표 및 취약지표, 유사지역 비교 분석 등)건물 상세 분석 서비스
- 지역 내 건물에 대한 조건(에너지원, 연면적, 사용용도, 노후도 등)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조회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내 감축사업을 효율적으로 이행, 관리하기 위한 지원 서비스
- 기본계획 이행현황 모니터링 수행 - 탄소중립 지표를 활용한 기본계획의 세부사업과 온실가스 인벤토리와의 영향분석온실가스 관련 다양한 정보 제공 기능 강화
- 온실가스 종합정보 플랫폼 구축으로 관련 통계에 대한 자료를 센터 홈페이지와 연계하여 정보 제공탄소 공개프로젝트(CDP) 등록
- 영국에 본사를 둔 비영리 기구로,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평가기관(2000년 출범), 세계 주요 도시·기업(전 세계 1,141개 도시, 18,700개 상장기업)의 온실가스 정보 공개를 통한 글로벌 ESG 평가지표 역할 수행 - 대구시가 가입한 ‘글로벌 기후·에너지 시장 협약(GCoM)’과 ‘Race to Zero 캠페인’의 참여 조건에 따라, 매년 탄소 공개프로젝트(CDP : Carbon Disclosure Project)를 통한 탄소중립 이행 보고를 하여야 함검토 시기
- 행정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기 전검토 방향
- 국가 및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비전, 목표와의 연계성과 부합 여부 -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정책 및 녹색성장 방향과의 부합 여부 -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분야별 과제 이행 방안의 내재 여부 -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위기 적응 대책 고려 여부 - 기후위기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수록 여부 등대상기관 시설물의 내구연한, 공공서비스의 특성 등 고려하여 적응대책 수립시점으로부터 50년 후까지의 기후위기 전망자료를 이용하여 기후위기에 의한 위험·피해 등의 영향을 예측, 장기적인 적응 목표 및 전략 수립
시설물 또는 사업장별로 기후변화 영향분석 및 기후변화 위험도 평가 등을 실시하여 적응대책 수립
공공기관 기후위기 적응대책은 충실성, 적절성, 연계성, 거버넌스 등 4가지를 검토기준으로 적정성과 타당성을 검토
대구시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사업 분석 및 인벤토리 작성 지원
- 대구시 전체 사업 현황 및 예산 분석 최신화 - 대구시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사업 분류 및 목록화각 부서별 탄소인지 예산서 작성 지원
- 감축사업 탄소인지 예산서 사업카드 작성 및 제공탄소중립 관련 행사 참여
- 지구의 날, 환경의 날 등 관련 행사에 직접 참여하여 축제 사전 및 현장 이벤트 기획 및 부스 운영탄소중립 실천 관련 온․오프라인 홍보 프로젝트 운영
- 온라인 플랫폼(소셜 미디어, 유튜브 등)을 활용한 창의적인 콘텐츠를 제작하여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챌린지 및 이벤트 기획 - 탄소중립 인식 제고를 위한 시민 참여 현장 캠페인 진행탄소중립 지식 정보 제공
- 기후위기·탄소중립과 관련된 간략한 기본 지식에 대한 영상, 카드뉴스 등 탄소중립 지식 정보 콘텐츠 발굴대구시 시민들의 탄소중립 실천 확산을 위한 참신하고 다양한 홍보 콘텐츠 공모
- 일상 속 다회용품 사용 브이로그, 탄소중립 홍보 영상, 광고 및 캠페인 등 홍보 확산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영상 콘텐츠 - 미래세대인 어린이들의 기후위기와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탄소중립 생활실천을 유도하기 위해 탄소중립을 주제로 한 그림 작품 - 시민주도의 탄소중립 생활문화 확산과 탄소중립 인식제고에 기여하기 위한 ’대구광역시 탄소줄이기 1110’ 댄스챌린지 영상 공모일회용품 줄이기, 다회용기 이용 문화 확산 등 시민들의 탄소중립 생활실천과 기후위기대응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행사 개최
- ’22년 924대구기후행동 및 대구미래녹색페어 시민 홍보 참여 - ’23년 지구의 날 행사 등 시민실천 홍보 참여를 통해 탄소줄이기 1110, 대구시 8G 전략 홍보 등 시민 실천 홍보 참여 - `24년 1회용컵 없는 커피차 운영, 탄소중립 실천행동 서명 후 기념품 제공 등센터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센터의 전반적인 사업 및 행사(공모전, 탄소중립 관련 행사 등)에 대한 정보제공
지역 내 중학생 및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제시된 탄소중립 관련 토론 논제에 대한 토너먼트 형식 토론대회 진행
- 관련 주제에 대한 이해도, 논증의 타당성, 개인 역량 및 참가 의지 등 심사교육청의 기후변화환경교육 프로그램 ‘춘하추동 환경교육 관리자 직무연수’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관리자 관점에서 학교 환경교육 운영의 실제를 접할 수 있는 기회 마련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천 의지고취로 기후위기 대응에 실천할 수 있는 환경교육 기회 확대
탄소줄이기 1110과 연계한 탄소발자국 계산기를 개발하여 시민, 이해관계자들에게 개인 탄소배출량 계산 결과 제공
탄소중립 관련 정보습득을 위해 탄소정보 콘텐츠 페이지를 추가하여 홈페이지 이용자 및 일반 시민들을 위한 사용환경 개선
대구시 2050 탄소중립 추진과제 관련 이해 제고 및 네트워크 구축
기후위기 탄소중립과 관련된 시민협의체 등 지역 내 산․학․연․관․민 이해관계자와 관련 국내․외 전문가 참여(발제 및 토론 등)
기초지자체의 지역 전문가 주민참여단 또는 탄소중립 지원센터와의 회의 또는 교육 진행을 릴레이세미나 연계
폭염 극복이 매우 중요한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의 탄소중립지원센터, 대구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이 협력하여 폭염 저감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고 새로운 정책을 발굴할 예정
아시아 저탄소화센터, 동아시아 환경정책연구회 등 다양한 동아시아 환경․에너지 관련 기관 및 단체와 관련 세미나 참석을 통해 축적된 환경관련 기술 공유
지역 내 중소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준비 및 대응 실태를 파악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ESG 경영의 환경분야 대응 방안 연구
대구시 극한기후를 조사 분석하여 장래 전망을 파악하고 극한기후로 인한 취약점을 분석 및 지역 기후 특성에 맞는 적응대책 개선 방안 연구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에 따른 세부사업 이행점검 및 환류, 성과지표에 대한 사업의 성과 및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 등을 통해 차년도 시행계획에 반영
국가계획과 연계하여 대구시에서 선정한 분야별 과제 및 연차별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에 대한 이행점검 및 결과 도출
대구시 온실가스 배출원 및 삭감 관련 동향 등 주요 정보 자료수집을 통해 대구형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지원
탄소 공개프로젝트인 Carbon Disclosure Project를 통한 탄소중립 이행 보고 지원세부시행계획에 대한 이행점검 및 결과 도출
대구시의 탄소중립 전략,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관련이 있는 행정계획에 대한 사전검토 지원
공공기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지침(‘22.6)에 따라 대구시 공공기관에서 작성한 기후위기 적응대책(안) 검토 지원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 시행에 대비하여 대구시의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사업 분석 및 부서별 탄소인지 예산서 작성 지원
Net-Zero 실천 방안 도출 및 확산을 위하여 청년 탄소중립 서포터즈를 통해 시민들의 탄소중립 인식 제고와 SNS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한 시민참여형 홍보 콘텐츠 발굴
대구시 시민들의 탄소중립 실천 확산을 위한 참신하고 다양한 홍보 콘텐츠 공모
일회용품 줄이기, 다회용기 이용 문화 확산 등 시민들의 탄소중립 생활실천과 기후위기대응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행사 개최
탄소중립 관련 주요 이슈를 핵심주제로 선정하여 탄소중립 시민협의체 등 지역 내 산·학·연·관·민 이해관계자와 관련 국내․외 전문가 참여한 세미나 개최
폭염 극복이 매우 중요한 두 광역시가 만나 폭염 저감을 위한 지식·기술 공유 및 기조 연사와 기조 강연에 인지도 있는 연사 초청하여 시민, 학생, 전문가, 공무원 등 참여형 포럼 개최
기후위기 적응대책의 필요성 및 기상기후정보의 이해와 활용, 기후정보 시스템 활용법 등 기후위기 적응대책 이행점검 전반 2023년 구·군 기후위기 적응대책 이행점검 교육 진행
국내·외 기후, 에너지 분야 리더들과의 네트워킹, 국제사회 기후위기 대응 플랫폼 구축에 참여
세계 GCoM 가입도시 중 CDP 우수도시로 선정된 도시간 GCoM 도시교류 프로그램 추진
* 24년 대구시-멜버른 상호 교류 추진국가 온실가스 감축 계획(`23년 3월 발표 예정)과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대구광역시 온실가스 감축 계획 수립으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예산의 온실가스 감축효과 평가를 위한 정책별 탄소감축영향에 대한 객관화 및 계량화, 성과지표 발굴 및 설정
ESG 경영에 따른 위험관리 및 기업의 신산업 진출 등 새로운 가치 창출 기회 제공
대구시 온실가스 배출원 및 삭감관련 동향 등 주요정보 자료수집을 통해 대구형 온실 가스 인벤토리 구축
탄소공개 프로젝트인 Carbon Disclosure Project를 통한 탄소중립 이행 보고
국가계획과 연계하여 대구시에서 선정한 분야별 과제 및 연차별 시행계획에 대한 이행 평가 점검
기후위기 극복의 중심인 MZ세대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탄소중립 실천 확산 아이디어 도출을 위하여 생활 실험인 리빙랩 방식을 통해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 정책 아이디어 발굴
참여공동체의 온실가스 주요 배출(흡수)원을 파악하고 탄소중립 생활 실천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대구시 탄소중립 선언과 이행계획 수립 및 추진에 따른 시민공감대 형성 및 다양한 방식의 시민참여 유도 확대
대구시 탄소중립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 제고 및 네트워크 구축
국내·외 기후·에너지 분야 리더들과의 네트워킹, 국제사회 플랫폼 참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구광역시 2050 탄소중립 전략 기본계획 수립 지원
대구광역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및 통계자료 검토 지원
탄소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를 통한 탄소중립 이행 보고 지원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지원(상시사업)
대구형 탄소중립 전환 모델 구축 및 탄소중립 전환마을 활동 지원을 위한 전환마을 방문 및 계획 수립(안) 모색 활동
924 대구기후행동 참여 8G전략 및 탄소줄이기 1110 실천 홍보
대구녹색미래페어 참여 8G전략 및 탄소줄이기 1110 실천 홍보(안) 모색 활동
2022 탄소중립 영상·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및 우수작 선정 홍보(안) 모색 활동
초·중·고등학교 중심의 탄소중립 교육 정책 방안 도출을 위한 학교 방문 및 지원(안) 모색활동
대구 탄소중립 지원센터 추진예정 핵심사업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 제고 및 관련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릴레이세미나 진행(안) 모색 활동
2022 대한환경공학회 대구·경북지회 주체,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지원센터와 경상북도 탄소중립 지원센터 공동주관 학술심포지엄 개최(안) 모색 활동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지원센터 홈페이지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