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자료실
  • 연구보고서
총 게시물 3 개 /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 3
    • · 보고서 번호

      53-6270000-000820-13

    • · 발행연도

      2024

    • · 연구책임

      편도철(대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 연구진

      대구광역시 탄소중립지원센터

    제1장 개요제1절 필요성 및 목적1. 계획 수립의 배경 및 필요성2. 계획 수립의 근거 및 목적제2절 관련 법령 및 계획1. 관련 법령2. 관련 계획제3절 계획 범위 및 추진체계1. 계획의 범위2. 계획의 추진체계제4절 계획 추진 절차 및 경과1. 계획의 추진 절차2. 계획 수립 추진 경과제2장 탄소중립 현황 분석제1절 탄소중립 환경요인 분석1. 사회적 요인2. 경제ㆍ산업 여건3. 환경적 여건4. SWOT 분석5.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제2절 온실가스 배출 흡수 현황 및 전망1. 온실가스 인벤토리2. 관리 권한 온실가스 인벤토리3. 온실가스 배출 전망제3절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시민참여1. 시민의식조사2. 「제1차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안) 설명회제3장 기존 계획의 평가제1절 계획의 개요1. 계획의 개요2. 온실가스 감축 목표3. 온실가스 감축 세부사업제2절 부문별 이행성과 분석1. 기후환경 부문2. 시민생활 부문3. 순환경제 부문4. 산림/농축산 부문 온실가스 감축량5. 경제산업 부문6. 에너지전환 부문7. 녹색교통 부문8. 건물/도시 부문제3절 종합평가 및 시사점1. 종합평가2. 시사점제4장 탄소중립 비전 및 중장기 감축 목표제1절 탄소중립녹색성장 비전 및 목표1. 비전2. 목표제2절 탄소중립녹색성장 추진전략 및 이행기반1. 추진전략 : 시민 주도 8G 전략 추진2. 이행 기반제3절 중장기 온실가스 목표 배출량 및 감축 목표량1. 온실가스 목표 배출량2.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 2
    • · 보고서 번호

      DCNC-02

    • · 발행연도

      2023

    • · 연구책임

      김광덕(대구광역시 탄소중립지원센터 팀장)

    • · 연구진

      조영탁, 박혜리, 남광현, 편도철, 안예지, 허승미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 방법제2장 국내외 사례 조사    제1절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의 개념        1. 온실가스 감축인지예산제도의 개념        2. 온실가스 감축인지예산제도의 목적과 적용    제2절 국내외 관련 사례 조사        1. 해외 사례 조사        2. 국내 사례 조사        3. 시사점제3장 대구광역시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 분석    제1절 2023년 사업 예산 분석 및 분류        1. 2023년 전체 예산 현황        2. 대구광역시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 분류 및 기준        3. 대구시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 분류(안)    제2절 2023년 감축, 배출, 중립 사업 목록화        1. 2023년 사업 현황        2. 사업 목록화제4장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서 작성    제1절 작성개요    제2절 부문별 감축인지 예산서 시범작성        1. 건물 부문        2. 농축산 부문        3. 수송 부문        4. 에너지 부문        5. 폐기물 부문        6. 흡수원 부문제5장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운영방안    제1절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추진체계        1.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추진목적        2.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추진절차        3.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작성 지침 마련    제2절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도입 로드맵        1. 연구 단계        2. 시범 도입    제3절 조직 구성 및 제도화 방안        1. 조직 구성        2. 제도화 방안참고문헌
  • 1
    대구형 ESG 모델 연구 작성일 : 2024-12-18 12:23:27
    • · 보고서 번호

      DCNC-01

    • · 발행연도

      2023

    • · 연구책임

      김광덕(대구광역시 탄소중립지원센터 팀장)

    • · 연구진

      전은정, 이영균, 김태수, 남광현, 편도철, 안예지, 허승미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 방법제2장 ESG 일반현황    제1절 ESG 개념 및 중요성        1. ESG 개념        2. ESG의 중요성    제2절 국내외 ESG 관련 동향 및 시사점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3. 국내외 ESG 전망        4. 시사점제3장 대구형 ESG 평가지표 대상 업종 선정    제1절 평가지표 대상 선정 개요        1. 대구시 ESG 모델 개발의 필요성        2. 대구형 ESG 평가지표 대상 업종 절차    제2절 업종 선정을 위한 산업 통계 조사        1. 대구시 지역경제 현황        2. 대구광역시 산업 현황        3. 대구광역시 미래산업 현황        4. 대구기업 ESG 관련 의견조사    제3절 ESG 평가지표 대상 선정        1. ESG 업종 선정 기준        2. 대구형 ESG 업종 분석        3. 대구형 ESG 도입의 핵심이슈와 고려사항    제4절 대구형 ESG 평가지표 대상 업종 빅데이터 분석        1. D-ESG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언론 기사 수집 및 처리        2. D-ESG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언론 기사 분석 결과        3. 시사점제4장 대구형 ESG 평가지표 선정    제1절 ESG 평가지표 조사        1. K-ESG        2. ESRS        3. SASB    제2절 ESG 평가지표 1차 리스트 작성        1. D-ESG 평가지표 작성방법        2. D-ESG 평가지표 결과물       제3절 ESG 평가모델 핵심지표 선정을 위한 전문가 조사        1. 전문가 조사방법        2. 전문가 조사결과제5장 대구형 ESG 추진 전략    제1절 업종별 ESG 평가 핵심지표        1. 중분류 기준 업종별 D-ESG 중요항목        2. 세분류 기준 업종별 D-ESG 중요항목        3. 업종별 D-ESG 핵심지표 종합    제2절 업종별 사례 조사 및 시사점        1. 시사점        2. D-ESG 공통지표 관리방안        3. 산업(업종)별 D-ESG 특화지표 관리방안        4. D-ESG 도입을 위한 선제적 실천 방안    제3절 대구시 중소기업 ESG 대응방안        1. ESG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        2. 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ESG 지원체계 구축        3. 지원기관별 ESG 대응 및 지원방안참고문헌부록    1. K-ESG 가이드라인 주요 진단항목    2. 공급망 K-ESG 가이드라인 주요 진단항목    3. ESRS 주제별 표준 상세지표    4. 지속가능산업분류체계 관련 7개 산업별 지속가능성 이슈    5. 대구형 ESG 모델 연구 전문가 조사지    6. 대구형 ESG 모델 평가지표 1차 리스트    7. 진단항목 중요도 점수와 순위

회원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