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한파, 호우 등 기후에 따른 취약지역 분석
- 폭염에 의한 노출 지역 조사 분석 - 노후 건축물 조사 분석 - 지하 건축물 조사 분석취약계층에 따른 취약성 분석
- 노인, 기초생활 수급자, 쪽방주민, 방문보건 대상자 등 - 폭염, 한파, 호우 등 기후에 따른 취약계층의 취약성 분석지역 내 중소기업 수요 조사 및 선정
- 기업 ESG 경영 실태 인터뷰 - 환경부문 프로세스 적용 희망 기업 선정온실가스, 에너지 관련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 생산공정 및 자체 에너지 사용 등 데이터 인벤토리 작성온실가스 감축 방안 마련
- 기업 온실가스 저감 방안 - 에너지 등 자원 소비 절감 방안 등국내외 기후 관련 기금 조사
- 기후대응기금 취지와 법적근거 - EU, 일본, 독일, 캐나다, 미국 등 기후관련 기금 현황 조사기후대응기금 운용현황 조사
- 기후대응기금 규모, 수입구조, 지출구조, 관리구조 등 조사기후대응기금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구분 | 추진일정(월)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대구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취약지역 및 취약계층 조사 연구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중소기업의 ESG 도입을 위한 환경부문 프로세스 적용 연구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지역 기후대응기금 적용 및 활용방안 연구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매년 지자체 계획에 대한 연도별 추진현황 점검을 통해 계획을 수정·보완해 나갈 수 있는 이행점검 및 환류 체계 구축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 세부사업에 대한 성과지표, 온실가스 감축 등 종합 진단을 통한 차년도 시행계획에 반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8조 및 지자체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상황 점검 가이드라인에 따라 추진
9개 구·군 탄소중립 기본계획 세부사업 성과지표 및 감축량 등 광역 계획과의 연계성 검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42조 및 지자체 기후위기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이행점검 지침에 따라 추진
부문별·지역별 기후위기의 영향과 취약성 평가, 적응대책에 관한 사업 점검
세부시행계획의 연도별 추진과제를 대상으로 평가하여 세부사업별 자체점검 진행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서비스
- IPCC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시각화 - IPCC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예측 전망 - 탄소중립 지표분석 (우수지표 및 취약지표, 유사지역 비교 분석 등)건물 상세 분석 서비스
- 지역 내 건물에 대한 조건(에너지원, 연면적, 사용용도, 노후도 등)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조회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내 감축사업을 효율적으로 이행, 관리하기 위한 지원 서비스
- 기본계획 이행현황 모니터링 수행 - 탄소중립 지표를 활용한 기본계획의 세부사업과 온실가스 인벤토리와의 영향분석온실가스 관련 다양한 정보 제공 기능 강화
- 온실가스 종합정보 플랫폼 구축으로 관련 통계에 대한 자료를 센터 홈페이지와 연계하여 정보 제공탄소 공개프로젝트(CDP) 등록
- 영국에 본사를 둔 비영리 기구로,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평가기관(2000년 출범), 세계 주요 도시·기업(전 세계 1,141개 도시, 18,700개 상장기업)의 온실가스 정보 공개를 통한 글로벌 ESG 평가지표 역할 수행 - 대구시가 가입한 ‘글로벌 기후·에너지 시장 협약(GCoM)’과 ‘Race to Zero 캠페인’의 참여 조건에 따라, 매년 탄소 공개프로젝트(CDP : Carbon Disclosure Project)를 통한 탄소중립 이행 보고를 하여야 함검토 시기
- 행정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기 전검토 방향
- 국가 및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비전, 목표와의 연계성과 부합 여부 -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정책 및 녹색성장 방향과의 부합 여부 -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분야별 과제 이행 방안의 내재 여부 -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위기 적응 대책 고려 여부 - 기후위기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수록 여부 등대상기관 시설물의 내구연한, 공공서비스의 특성 등 고려하여 적응대책 수립시점으로부터 50년 후까지의 기후위기 전망자료를 이용하여 기후위기에 의한 위험·피해 등의 영향을 예측, 장기적인 적응 목표 및 전략 수립
시설물 또는 사업장별로 기후변화 영향분석 및 기후변화 위험도 평가 등을 실시하여 적응대책 수립
공공기관 기후위기 적응대책은 충실성, 적절성, 연계성, 거버넌스 등 4가지를 검토기준으로 적정성과 타당성을 검토
대구시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사업 분석 및 인벤토리 작성 지원
- 대구시 전체 사업 현황 및 예산 분석 최신화 - 대구시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사업 분류 및 목록화각 부서별 탄소인지 예산서 작성 지원
- 감축사업 탄소인지 예산서 사업카드 작성 및 제공지역 내 중소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준비 및 대응 실태를 파악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ESG 경영의 환경분야 대응 방안 연구
대구시 극한기후를 조사 분석하여 장래 전망을 파악하고 극한기후로 인한 취약점을 분석 및 지역 기후 특성에 맞는 적응대책 개선 방안 연구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에 따른 세부사업 이행점검 및 환류, 성과지표에 대한 사업의 성과 및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 등을 통해 차년도 시행계획에 반영
국가계획과 연계하여 대구시에서 선정한 분야별 과제 및 연차별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에 대한 이행점검 및 결과 도출
대구시 온실가스 배출원 및 삭감 관련 동향 등 주요 정보 자료수집을 통해 대구형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지원
탄소 공개프로젝트인 Carbon Disclosure Project를 통한 탄소중립 이행 보고 지원세부시행계획에 대한 이행점검 및 결과 도출
대구시의 탄소중립 전략,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관련이 있는 행정계획에 대한 사전검토 지원
공공기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지침(‘22.6)에 따라 대구시 공공기관에서 작성한 기후위기 적응대책(안) 검토 지원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 시행에 대비하여 대구시의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 사업 분석 및 부서별 탄소인지 예산서 작성 지원
Net-Zero 실천 방안 도출 및 확산을 위하여 청년 탄소중립 서포터즈를 통해 시민들의 탄소중립 인식 제고와 SNS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한 시민참여형 홍보 콘텐츠 발굴
대구시 시민들의 탄소중립 실천 확산을 위한 참신하고 다양한 홍보 콘텐츠 공모
일회용품 줄이기, 다회용기 이용 문화 확산 등 시민들의 탄소중립 생활실천과 기후위기대응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행사 개최
탄소중립 관련 주요 이슈를 핵심주제로 선정하여 탄소중립 시민협의체 등 지역 내 산·학·연·관·민 이해관계자와 관련 국내․외 전문가 참여한 세미나 개최
폭염 극복이 매우 중요한 두 광역시가 만나 폭염 저감을 위한 지식·기술 공유 및 기조 연사와 기조 강연에 인지도 있는 연사 초청하여 시민, 학생, 전문가, 공무원 등 참여형 포럼 개최
기후위기 적응대책의 필요성 및 기상기후정보의 이해와 활용, 기후정보 시스템 활용법 등 기후위기 적응대책 이행점검 전반 2023년 구·군 기후위기 적응대책 이행점검 교육 진행
국내·외 기후, 에너지 분야 리더들과의 네트워킹, 국제사회 기후위기 대응 플랫폼 구축에 참여
세계 GCoM 가입도시 중 CDP 우수도시로 선정된 도시간 GCoM 도시교류 프로그램 추진
* 24년 대구시-멜버른 상호 교류 추진국가 온실가스 감축 계획(`23년 3월 발표 예정)과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대구광역시 온실가스 감축 계획 수립으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예산의 온실가스 감축효과 평가를 위한 정책별 탄소감축영향에 대한 객관화 및 계량화, 성과지표 발굴 및 설정
ESG 경영에 따른 위험관리 및 기업의 신산업 진출 등 새로운 가치 창출 기회 제공
대구시 온실가스 배출원 및 삭감관련 동향 등 주요정보 자료수집을 통해 대구형 온실 가스 인벤토리 구축
탄소공개 프로젝트인 Carbon Disclosure Project를 통한 탄소중립 이행 보고
국가계획과 연계하여 대구시에서 선정한 분야별 과제 및 연차별 시행계획에 대한 이행 평가 점검
기후위기 극복의 중심인 MZ세대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탄소중립 실천 확산 아이디어 도출을 위하여 생활 실험인 리빙랩 방식을 통해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 정책 아이디어 발굴
참여공동체의 온실가스 주요 배출(흡수)원을 파악하고 탄소중립 생활 실천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대구시 탄소중립 선언과 이행계획 수립 및 추진에 따른 시민공감대 형성 및 다양한 방식의 시민참여 유도 확대
대구시 탄소중립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 제고 및 네트워크 구축
국내·외 기후·에너지 분야 리더들과의 네트워킹, 국제사회 플랫폼 참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구광역시 2050 탄소중립 전략 기본계획 수립 지원
대구광역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및 통계자료 검토 지원
탄소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를 통한 탄소중립 이행 보고 지원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지원(상시사업)
대구형 탄소중립 전환 모델 구축 및 탄소중립 전환마을 활동 지원을 위한 전환마을 방문 및 계획 수립(안) 모색 활동
924 대구기후행동 참여 8G전략 및 탄소줄이기 1110 실천 홍보
대구녹색미래페어 참여 8G전략 및 탄소줄이기 1110 실천 홍보(안) 모색 활동
2022 탄소중립 영상·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및 우수작 선정 홍보(안) 모색 활동
초·중·고등학교 중심의 탄소중립 교육 정책 방안 도출을 위한 학교 방문 및 지원(안) 모색활동
대구 탄소중립 지원센터 추진예정 핵심사업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 제고 및 관련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릴레이세미나 진행(안) 모색 활동
2022 대한환경공학회 대구·경북지회 주체,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지원센터와 경상북도 탄소중립 지원센터 공동주관 학술심포지엄 개최(안) 모색 활동
대구광역시 탄소중립 지원센터 홈페이지 구축